종말의 세라프
최근 수정 시각:
ㄱ · ㄴ · ㄷ · ㄹ · ㅁ · ㅂ · ㅅ · ㅇ · ㅈ · ㅊ · ㅋ · ㅌ · ㅍ · ㅎ | ㄱ · ㄴ · ㄷ · ㄹ · ㅁ · ㅂ · ㅅ · ㅇ · ㅈ · ㅊ · ㅋ · ㅌ · ㅍ · ㅎ |
1. 개요[편집]
終わりのセラフ / Seraph of the End
점프 SQ에서 2012년 10월호부터 연재중인 묵시록의 예언을 소재로 한 포스트 아포칼립스 만화. 일러스트레이터 야마모토 야마토가 작화, 라이트 노벨 작가 카가미 타카야가 스토리, 후루야 다이스케가 콘티를 담당하고 있다. 이와 동시에 스토리 담당인 카가미 타카야가 집필하고 야마모토 야마토가 삽화를 담당한 소설판인 '종말의 세라프 - 이치노세 구렌, 16세의 파멸[1]-'이 나오고 있다. 일본에서는 슈에이샤 / 코단샤(이치노세 구렌 외전 소설과 코미컬라이즈만), 한국에서는 학산문화사를 통해 발매되고 있다. 한국 정발판 번역자는 김동욱.[2]
모든게 주술로 이루어진 세계.. 12월 24일 크리스마스 이브.. 갑자기 발생한 수상한 바이러스로 인해 13세 이상의 성인들은 모두 사망하고, 묵시록의 4기사라고 불리는 괴물에 의해 인간 사회가 붕괴한 후, 그 동안 지하 도시에서만 생활하던 흡혈귀가 인간을 일방적으로 지배하는 시대가 온다. 흡혈귀의 지배에 맞서 세계의 지배권을 다시 장악하려는 인간 측 주술사 집단 일본제귀군과, 막강한 힘으로 인간을 깔보면서도 인간들의 주술 '종말의 세라프'로 인한 멸망을 두려워하는 흡혈귀들의 대립과 갈등을 다룬 이야기이다.
소설판은 만화에서 8년 전 세계가 멸망하는 해의 봄 시점에서 시작하여 점점 크리스마스가 가까워지고 있다. 소설판 6권 기준 작중 시점에서 세계 멸망까지 이틀 남았다.(...) 세계를 멸망으로 몰고 간 주술과 이에 대한 인간들의 대응을 다룬다. 소설판의 주인공은 만화판 주인공인 햐쿠야 유이치로와 다른 이치노세 구렌으로, 그와 동년배 인물들이 다수 등장한다. 만화가 일반적인 소년만화에 가깝다면 소설판은 좀 더 하드하고 어두운 내용 위주이다.[3] 소설판에서는 만화에서 설명하기 힘든 설정들이 나오고 단순히 과거의 일만 나열되는 것이 아닌 향후 만화 전개에서 중요한 사실들까지 밝혀지기 때문에[4] 만화만 읽기보다는 소설도 병행해서 읽는 편이 좋다.
기본 베이스는 인간과 흡혈귀의 대결을 다룬 주술 배틀물이지만 실제로는 인간들의 욕망과 그로 인해 벌어지는 재앙이 주 포인트. 만화, 소설 어디에서나 만악의 근원은 인간이며 실제로 인간들의 집단인 히이라기 가나 백야교가 벌이는 만행들을 보면 흡혈귀는 저리가라 할 정도로 절대 인간을 순수 선으로 보기 어렵다. 이는 인간들의 욕망을 바탕으로 하여 성장, 최악의 경우에는 인간을 잠식하는 오니, 그리고 오니를 이용해 만들어지는 귀주장비 등의 설정에서도 잘 드러난다. 이러한 인간의 추악한 욕망과 정반대되는 개념으로 동료, 우정, 가족 등이 강조되는데, 실제 만화, 소설 어디서나 오니에게 잠식당하지 않는 조건으로 늘 등장하는 것이 이 개념들이다. 이 점만큼은 확실히 정석 소년만화다운 부분.
2017년 5월 기준 일본에서 시리즈 누계 700만부를 돌파했다. 소년만화치고도 그림체가 수려하고 미소년들이 많이 나오고, 캐릭터 사이의 관계성 서술도 노골적으로 집착하는 면이 그려져 BL계 여덕들을 어느정도 생각한 것으로 보인다. 국내에서는 이쪽 본진이라는 부녀자들이 대부분 트위터에 밀집해 있다 그와 별개로 부남자로 유명한 작가 카가미 타카야가 대놓고 이쪽으로 밀어주고 있기 때문에(...) 더욱 그렇다. 더불어 애니메이션판은 스킨십이 여러모로 강화되었다. 그리고 2쿨 10화에서 폭발
2. 등장인물[편집]
문서 참고.
3. 설정[편집]
4. 단행본[편집]
01권 | 02권 | 03권 |
04권 | 05권 | 06권 |
07권 | 08권 | 09권 |
10권 | 11권 | 12권 |
13권 | 14권 | 15권 |
단행본은 홀수-인간, 짝수-흡혈귀(오니)[5] 법칙을 확실히 지키고 있다. 8권의 구렌은 애매했으나 그의 아래에 있는 마히루의 모습을 보면 마히루에게 잠식당한 구렌으로 볼 수 있으므로 결국 이 법칙을 지킨 셈이다.
5. 미디어 믹스[편집]
5.1. 애니메이션[편집]
5.1.1. 개요[편집]
원작 | 카가미 타카야 / 전설의 용자의 전설, 만화: 야마모토 야마토 / 9S, 콘티구성: 후루야 다이스케(降矢大輔) / 쿠레나이 |
감독 | 토쿠도 다이스케(徳土大介) / 망념의 잠드 감독보좌 |
부감독 | 코이즈카 마사시(肥塚正史) / 진격의 거인 조감독 |
시리즈 구성·각본 | |
캐릭터 디자인 | 카도와키 사토시(門脇 聡) / 진격의 거인 캐릭터 설정 협력, 작화감독 |
이미지 보드 | 시나가와 히로키(品川宏樹) / 메다카 박스 스토리 보드 치프 |
음악 프로듀스 | |
음악 | 사와노 히로유키, 와다 타카후미(和田貴史) / 일곱개의 대죄 음악, 타치바나 아사미(橘 麻美) / Robotics;Notes 음악, 시라이시 메구미(白石めぐみ) |
음악제작 | 호리구치 야스시(堀口泰史) (Legendoor) |
음향감독 | 츠루오카 료타(鶴岡陽太) / CLANNAD 음향감독 |
음향제작 | 라쿠온샤(楽音舎) / 미래일기 음향제작 |
서브 캐릭터 디자인 | 야마다 아유미(山田 歩) / 진격의 거인 메인 애니메이터, 에비스 타쿠마(胡 拓磨) / 길티 크라운 메카닉 디자인 / 히라타 료(ヒラタリョウ) |
프롭디자인 | 에비스 타쿠마 |
총작화감독 | 카도와키 사토시, 야마다 아유미 |
메인 애니메이터 | 토미타 메구미(富田恵美), 카토 미호(加藤美穂), 스기자키 유카(杉崎由佳), 에비스 타쿠마 |
색채설계 | 누마하타 후미코(沼畑富美子) |
미술감독 | 요시오카 세이코(吉岡誠子) |
미술설정 | 후지이 카즈시(藤井一志) |
미술 | 스튜디오 Pablo |
촬영감독 | 아카마츠 야스히로(赤松康裕) / 톤쇼 신지(頓所信二) |
3D 감독 | 사이토 츠카사(さいとうつかさ) |
촬영 | 칩 튠 |
2D 워크스 | 아라키 히로후미(荒木宏文) |
편집 | 우츠노미야 마사키(宇都宮正記) |
애니메이션 제작 | |
제작 | 종말의 세라프 제작위원회(NBC 유니버설 엔터테인먼트, 슈에이샤, WIT STUDIO) |
화수 | 24화 |
2014년, 애니메이션화가 결정되었다. 제작사는 진격의 거인을 제작한 WIT STUDIO. 2015년 4월과 2015년 10월로 분할 2쿨 방영. 시간대는 MX 토요일 밤 10시.
5.1.2. PV[편집]
5.1.3. 평가[편집]
평가는 좋다는 쪽은 캐릭터, 스토리, OST, 유화풍의 배경을 호평하고 있지만, 나쁘다는 쪽에서는 느린 전개와 액션을 비판하고 있다. 특히 액션 부분. 퀄리티 자체가 상당히 떨어질 뿐만 아니라 연출이 너무 느리고, 배경음악과 효과음도 밋밋하다.BGM 좀 써라! 특히 다대다 전투씬에서 뒤치기를 할때마다 반드시 큰 소리로 적을 부르며 친절하게 방어할 시간을 준 다음 공격하는 걸 매 전투마다 지겹게 감상하다 보면 나중엔 해탈한 자신을 보게 될 것이다. 게다가 정지화상의 남발뒤치기 장면과 시너지를 일으켜 발암도를 높인다은 안그래도 부족한 역동성을 더욱 떨어지게 만들었다. 오죽하면 작중 제일 역동적인 장면이 구렌이 맞아 나가떨어질 때(...)라고 말할 정도. 아니 왜 얘들은 전장에서 가만히 서있는거야 진격의 거인의 제작사와 같은 곳에서 제작했기 때문에 적어도 동급의 액션을 기대했던 시청자들에게는 실망스러운 요소가 되었다. 하지만 이건 정말 예산문제로 보이는게, 제작자들의 성의는 꽤나 괜찮았다. 초반에는 액션 동화도 나쁘지 않았고, 중반에도 월귀군 단체에 움직임을 따로 다 부여하는 장면이 나오는 등, 퀄리티는 미묘하지만 보통 다른 애니메이션에서 하는 것들에 비하면 정말 성의는 좋았다.
원작에 충실하게 애니화된 편이지만 원작과 비교하면 개그스러운 면은 좀 잘리거나 수정된 편. 귀주훈련 중 시노아와 미츠바의 부녀자스러운 연극[6]이라던가 요이치의 '꽃밭=화장실' 설명이라던가 나루미와 유우의 악력 싸움이라던가. 더불어 작품 설정관련 부분도 좀 잘려나간 듯. 예를 들어 2기 귀주훈련 전 귀주장비의 두가지 속성설명 같은 경우 그냥 바로 훈련으로 넘어갔다.
그럭저럭 인기가 있었고 캐릭터의 매력도 잘 살린 편이지만 성우 이벤트 응모권이 포함된 BD/DVD 1권은 판매량이 6200장 정도로 집계되었으나 이벤트 응모권이 포함 되지 않은 2권째부터 판매량이 떨어져 2700장대로 집계되고 있다. 2쿨 마지막권까지 비슷한 판매량이 유지되어 결국 1쿨 종료후 집계된 판매량은 평균 3500장 정도. 2쿨은 평균 2200장 정도.
1쿨은 원작에 너무 충실해 전개가 느리다고 비판받았으나 2쿨부터는 스토리 진행이 빠르며 원작의 부족한 내용도 보충했다. 가장 크게 비판받았던 밋밋한 액션씬과 BGM 사용센스도 1쿨과 비교하면 많이 좋아졌다.사실 이게 보통인데 1쿨이 너무 심했다
그리고 스토리 진행이 빨라졌기에 2쿨 동안 원작의 분량을 제대로 따라잡아 버렸다. 애니메이션 마지막화인 24화에서 원작 최신화인 40화까지 모두 따라잡았다. 원작도 여기까지는 종말의 세라프라는 것이 무엇인지 보여주고, 이후에야 본격적으로 이야기를 끌어갈 가능성이 높았던지라 분량이 딱 맞는다. 그래서 오리지널 결말 등으로 끝맺기보다는 후속작을 암시하고 끝날 가능성이 높았는데 역시 "우리들의 싸움은 계속 된다!" 형식으로 앞으로의 이야기가 남았음을 보여주며 끝났다. 원작도 종말의 세라프가 모습을 드러낸 그 사건 이후의 후일담을 좀 더 자세히 다룬 후 애니메이션에서 나온 4개월 이후의 모습으로 연결되어 이후의 이야기가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7] 후속작이 나오는건 판매량이나 원작 분량을 봐서는 당분간은 무리일듯. 작가 특성상 원작은 장기작이 될 가능성이 높다. 그래도 원작이 유명해지는 데 일조해서 광고는 제대로 된 듯.
5.1.4. 주제곡[편집]
1쿨 OP X.U.[8] | |
ARTIST | SawanoHiroyuki[nZk]:Gemie |
1쿨 ED scaPEGoat[9] | |
ARTIST | SawanoHiroyuki[nZk]:Yosh |
여담이지만 2쿨의 오프닝과 엔딩 가수가 블랙불릿 포지션이랑 같다 BD판매량도 비슷하다
5.1.5. OST[편집]
Seraph of the end ORIGNAL SOUNDTRACK | |||
카탈로그 넘버 | GNCA-1444 | ||
발매일 | 2015년 6월 15일 | ||
배급사 | |||
작곡(CD1) | |||
작곡(CD2) | 와다 타카후미, 타치바나 아사미, 시라이시 메구미 | ||
TITLE | NAME | NOTE | |
1 | X.U. (TV size) | 종말의 세라프 1쿨 오프닝 TV버전 | |
2 | [A]pa-t | PART A | |
3 | 1hundredknight:Y | 햐쿠야 유이치로 | |
4 | pfSOTEad1 | pf(pianoforte)+SOTE(Seraph Of The End)+ad(adlib)1 | |
5 | 1hundredknight:M | 햐쿠야 미카엘라 | |
6 | pfSOTEad2 | pf(pianoforte)+SOTE(Seraph Of The End)+ad(adlib)2 | |
7 | OneZeroEight | 108 | |
8 | [B]pa-t | PART B | |
9 | pfSOTEad3 | pf(pianoforte)+SOTE(Seraph Of The End)+ad(adlib)3 | |
10 | 108 | ||
11 | 9BL00d鬼 | 흡혈귀 | |
12 | SOTE | 종말의 세라프 | |
13 | scaPEGoat (TV size) | 종말의 세라프 1쿨 엔딩 TV버전 | |
14 | ToBeContinued.. | 다음 이야기 | |
CD2 | |||
1 | Seraph of the End - Prologue | ||
2 | Seraph of the End - Epic | ||
3 | 月鬼ノ組 | 월귀조 | |
4 | 不安のむこう | 불안의 저편 | |
5 | Battlefield | 전장 | |
6 | Ferid Bathory | ||
7 | 戦闘開始 | 전투개시 | |
8 | 仲間 | 동료 | |
9 | Invisible Sky | 보이지 않은 하늘 | |
10 | 破滅後の世界 | 파멸 후의 세계 | |
11 | The Japanese Imperial Demon Army | 일본제귀군 | |
12 | 襲い来る悪 | 습격해 오는 악 | |
13 | 脱出行 | 탈출행 | |
14 | 奇々怪々 | 기괴[13] | |
15 | Demon's Reborn | 악마의 탄생 | |
16 | 戦いの時 | 싸움의 날 | |
17 | Reality,Destiny | 현실, 운명 | |
18 | 絆 | 유대 | |
19 | 夕景 | 저녁경치 |
5.1.6. 방영 목록[편집]
※ 모든 에피소드의 각본은 세코 히로시(瀬古浩司)가 집필한다.
회차 | 제목 | 콘티 | 연출 | 방영 일자 | ||
원제 | 국내 | 일본최속 | 한국방영 | |||
1쿨 | ||||||
1화 | 血脈のセカイ | 혈맥의 세계 | 토쿠도 다이스케 | 2015.04.04 (토) | 2015.04.05 (일) | |
2화 | 破滅後のニンゲン | 파멸 후의 인간 | 미야지☆마사유키 | 코이즈카 마사시 | 2015.04.11 (토) | 2015.04.12 (일) |
3화 | 心に棲むオニ | 마음속에 사는 오니 | 토코로 토모카즈 | 토코로 토모카즈 | 2015.04.18 (토) | 2015.04.19 (일) |
4화 | 吸血鬼ミカエラ | 흡혈귀 미카엘라 | 타카오카 준이치 | 2015.04.25 (토) | 2015.04.26 (일) | |
5화 | 黒鬼とのケイヤク | 흑귀와의 계약 | 오하라 미노루 | 마츠시타 슈헤이 | 2015.05.02 (토) | 2015.05.03 (일) |
6화 | 新しいカゾク | 새로운 가족 | 코이즈카 마사시 | 안지키 케이 | 2015.05.09 (토) | 2015.05.10 (일) |
7화 | 三葉のチーム | 미츠바의 팀 | 미야지☆마사유키 | 와카노 테츠야 | 2015.05.16 (토) | 2015.05.17 (일) |
8화 | 殲滅のハジマリ | 섬멸의 시작 | 히라카와 테츠오 | 우츠노미야 마사키 | 2015.05.23 (토) | 2015.05.24 (일) |
9화 | 襲撃のヴァンパイア | 습격의 뱀파이어 | 이와타키 사토시 | 니노미야 타케시 | 2015.05.30 (토) | 2015.05.31 (일) |
10화 | 選択のケッカ | 선택의 결과 | 무로이 후미에 | 아사미 마츠오 | 2015.06.06 (토) | 2015.06.07 (일) |
11화 | 幼馴染のサイカイ | 죽마고우와의 재회 | 미야지☆마사유키 | 모리 쿠니히로 | 2015.06.13 (토) | 2015.06.14 (일) |
12화 | みんなツミビト | 토쿠도 다이스케 | 요시자와 슌이치 | 2015.06.20 (토) | 2015.06.21 (일) | |
2쿨 | ||||||
13화 | 人間のセカイ | 인간의 세계 | 미야지☆마사유키 | 와카노 테츠야 | 2015.10.10 (토) | 2015.10.12 (월) |
14화 | 交錯するカンケイ | 교착하는 관계 | 히라카와 테츠오 | 2015.10.17 (토) | 2015.10.19 (월) | |
15화 | 帝鬼軍のヤボウ | 제귀군의 야망 | 미야지☆마사유키 | 우에노 후미히로 | 2015.10.24 (토) | 2015.10.26 (월) |
16화 | 月鬼のゴウレイ | 월귀의 호령 | 오하라 미노루 | 쿄고쿠 요시아키 | 2015.10.31 (토) | 2015.11.02 (월) |
17화 | 反逆するカチク | 반역하는 가축 | 코이즈카 마사시 | 아카마츠 야스히로 | 2015.11.07 (토) | 2015.11.09 (월) |
18화 | 正義のツルギ | 정의의 검 | 카네모리 요코 | 2015.11.14 (토) | 2015.11.16 (월) | |
19화 | 深夜とグレン | 신야와 구렌 | 모리 쿠니히로 | 2015.11.21 (토) | 2015.11.23 (월) | |
20화 | 鬼のコモリウタ | 오니의 자장가 | 이와타키 사토시 | 와카노 테츠야 | 2015.11.28 (토) | 2015.11.30 (월) |
21화 | 裏切りのミカタ | 배신의 아군 | 쿄고쿠 요시아키 | 2015.12.05 (토) | 2015.12.07 (월) | |
22화 | 優とミカ | 유우와 미카 | 미야지☆마사유키 | 마츠시타 슈헤이 | 2015.12.12 (토) | 2015.12.14 (월) |
23화 | 傲慢なアイ | 오만한 사랑 | 카네모리 요코 | 카네모리 요코 | 2015.12.19 (토) | 2015.12.21 (월) |
24화 | 終わりのセラフ | 종말의 세라프 | 토쿠도 다이스케 | 카와이 유우미 | 2015.12.26 (토) | 2015.12.28 (월) |
한국어 번역 부제는 해당 작품을 국내에서 정식으로 방영한 애니맥스 코리아를 기준으로 한다.
5.1.7. 엔드 카드[편집]
엔드 카드 일람 | |||||||||
1화 - katomi | 2화 - 야마다 아유미 | ||||||||
3화 - 타케다 이츠코 | 4화 - 타카오카 쥰이치 | ||||||||
6화 - 토미타 메구미 | |||||||||
8화 - 안지키 케이 | |||||||||
9화 - 야마모토 마리코 | 10화 - 오자와 마도카 | ||||||||
11화 - 이가와 레이나 | 12화 - 카도와키 사토시 | ||||||||
13화 - 하세가와 사키 | 14화 - 이소노 사토시 | ||||||||
15화 - 토미타 메구미 | 16화 - 이가와 레이나 | ||||||||
17화 - 시나카와 히로키 | 18화 - 카토 미호 | ||||||||
19화 - 야마나카 마사히로 | 20화 - 야마다 아유미 | ||||||||
21화 - 에비스 타쿠마 | 22화 - 아사노 쿄지 | ||||||||
23화 - 오스기 나오히로 | 24화 - 카도와키 사토시 | ||||||||
5.1.8. 트리비아[편집]
종말의 세라프 part 2 는 절대로 2기가 아니다! 많은 사람들이 2기라고 하지만 분할 2쿨이다.
문제는 네이버에는 2기로 검색해야 나온다(...).
성우진이 이리노 미유, 오노 켄쇼, 하야미 사오리, 나카무라 유이치, 오카모토 노부히코, 이시카와 카이토, 이구치 유카, 사쿠라이 타카히로, 유우키 아오이, 스즈키 타츠히사, 스즈무라 켄이치, 오노 다이스케, 엔도 아야, 호소야 요시마사 등의 화려한 캐스팅을 자랑하는데, 이는 노라가미와 함께 2015년에 방영된 애니메이션 중 최고라 할 수 있을 정도로 화려하다.
주조연급 인물들의 성우들이 하이큐!!에 출연한 경우가 많다[15]. 주인공 유우의 성우인 이리노 미유는 스가와라 코시를 맡았고, 키미즈키의 성우인 이시카와 카이토는 카게야마 토비오를 맡았으며 요이치의 성우인 오카모토 노부히코는 니시노야 유를, 구렌의 성우인 나카무라 유이치는 쿠로오 테츠로를, 페리드의 성우인 사쿠라이 타카히로는 츠키시마의 형인 츠키시마 아키테루를 맡았다. 또한 2쿨의 신캐릭터들인 나루미 마코토와 히이라기 쿠레토의 성우인 마에노 토모아키 와 호소야 요시마사는 아즈마네 아사히를,는 VOMIC판에서는 카게야마, TVA판에서는 시마다 마코토를 맡았다..
종세의 전쟁은 배구 시합이었던 건가!
국내에선 애니맥스 코리아를 통해 한일 동시방영만 되었다. 미국에서는 퍼니메이션을 통해 한국과는 달리 영어더빙되어 방영되었다. 북미판 성우진.
마지막화에서 원작의 진행을 따라잡아버리는 바람에 원작과 완전히 다른 전개가 되었다. 유우의 오니화가 매일 진행되는 것을 등장인물들이 언급 없이 넘어가는건 그렇다치고, 붉고 독으로 물든 바다라고 원작에서 언급된 바다가 푸른 바다가 된다. 그리고 그 독에 물든 바다를 유우가 걸어들어간다... 또 원작은 여전히 유우 일행이 제귀군 복장이지만 애니 마지막화에선 모두 사복으로 갈아입었다. 이후 후속작이 나오면 이것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
5.2. 라이트 노벨[편집]
5.2.1. 이치노세 구렌, 16세의 파멸[편집]
한국 정발판이 오타가 잘못 나는 바람에 종북의 세라프란 개드립이 붙었다.지못미(...) 참고로 6권은 한정판이 따로 나왔는데, 따로 번역판이 아예 안나온데다가, 한국에서는 미리 알고 구한 소수의 펜들만 한정판이 있는지 알고 있다. 그런데 한정판이라해봤자 그저 구렌 표지라서...신야가 좋아합니다 한정판이 아닌 표지는 마히루 표지인데 뭔가... 한정판 표지를 구한 사람들 신야와 같이 구렌 덕후일수도 아닐수도
5.2.2. 흡혈귀 미카엘라의 이야기[편집]
1권[16] | |
슈에이사의 JBOOKS에서 흡혈귀 시점으로 과거 이야기를 다룬 소설. 사실 제목과는 달리 크로울리가 중심이 되는 이야기. 주로 크로울리 유스포드가 십자군 기사로 페리드 바토리를 만나서 흡혈귀가 되는 과정을 다루고 있다. 십자군 이후에 일어난 연쇄 살인사건을 해결하기 위해 크로울리와 페리드가 탐정놀이를 하는 이야기이다. 2권 마지막 부분에서는 하쿠야 고아원 아이들이 상귀넴에서 탈출할 때 페리드의 관점을 볼 수 있다.
5.3. 외전 만화[편집]
5.3.1. 세라푸치! 종말의 세라프 4컷 편[편집]
애니화 기념으로 주요 캐릭터들을 SD화해서 그린 4컷 형식의 개그물 만화. 처음에는 증간지 점프 SQ.19 에서 연재되다가 이윽고 본편과 같은 연재처인 점프 SQ서 연재를 이어나갔다. 현재 슈에이샤에서 1권까지 발매된 상태. 만화는 아오키타 렌이 담당하며 원안 감수는 카가미 타카야, 야마모토 야마토, 후루야 다이스케이다.
5.3.2. 이치노세 구렌, 16세의 파멸[편집]
동명의 소설을 만화화하였다. 코단샤의 월간 소년 매거진에서 2017년 7월호부터 연재. 만화가는 마오유우 마왕용사와 오키테가미 쿄코의 비망록 만화판 등을 담당한 아사미 요우(浅見よう)이다. 본편과 외전이 각각 다른 출판사에서 연재되는 특이한 케이스.
5.4. 게임[편집]
PS Vita용 게임으로도 2015년 12월 17일 발매되었다. 부제는 운명의 시작.
턴제 SRPG 방식이며 스토리는 거의 그대로 따라가나 게임인 만큼 일부 전개와 결말은 오리지널로 살짝 다르게 진행된다.
5.5. 웹 라디오[편집]
<종말의 라디오>란 타이틀로, 2015년 2월 20일부터 2016년 1월 15일까지 진행했다. 스폰서는 온센, 히비키 tv 스테이션, 애니메이트tv에서 배신했다. 제 10화까지는 매주 금요일 갱신, 제 11화에서 13화까지 월 1회 갱신, 제 14화에서 19화까지 다시 한 번 매주 금요일 갱신했으며, 19화로부터 1개월 후 제 20화(최종화)를 수신하고 종료했다. 퍼스널리티는 와시자키 타케시, 어시스턴트는 레네 심 역의 우메하라 유이치로.
게스트
1화 : 이리노 미유 (햐쿠야 유이치로 역)
2화 : 오노 켄쇼 (햐쿠야 미카엘라 역)
3화 : 나카무라 유이치 (이치노세 구렌 역)
4화 : 오카모토 노부히코 (사오토메 요이치 역), 이시카와 카이토 (키미즈키 시호 역), 사쿠라이 타카히로 (페리드 바토리 역)[17]
5화 : 하야미 사오리 (히이라기 시노아 역)
6화 : 이구치 유카 (산구 미츠바 역)
7화 : 이시카와 카이토 (키미즈키 시호 역)
8화 : 오카모토 노부히코 (사오토메 요이치 역)
11화 : 나가츠카 타쿠마 (라크스 웰트 역)
14화 : 유우키 아오이 (쿠루루 체페시 역)
15화 : 타네자키 아츠미 (하나요리 사유리 역)
16화 : 마에노 토모아키 (히이라기 쿠레토 역)
17화 : 스즈키 타츠히사 (히이라기 신야 역)
20화 : 카가미 타카야 (원작자)
5.5.1. 라디오 CD[편집]
Vol | 발매일 | 아카이브 | 상품번호 | 비고 |
1 | 2015년 9월 30일 | 제 1회 - 제 8회 | TBZR-0464/0465 | 찍어 내린 신규 라디오 수록 |